맨위로가기

겐로쿠 요란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겐로쿠 요란은 1999년 NHK에서 방영된 드라마로, 아사노 다쿠미노카미의 복수를 위해 47인의 무사가 기라 고즈케노스케에게 복수한 아코 사건을 다룬다. 오이시 쿠라노스케를 중심으로 한 등장인물들의 갈등과 복수 과정을 그리며, 겐로쿠 시대의 정치, 사회적 배경을 조명한다. 이 드라마는 긍정적, 부정적 평가를 모두 받았으며, 평균 시청률 20.2%를 기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후나바시 세이이치 - 꽃의 생애
    꽃의 생애는 영화, TV 드라마, 무대 등 다양한 형태로 제작된 작품의 제목이다.
  • 주신구라 - 고개의 군상
    1982년 NHK에서 방영된 드라마 "고개의 군상"은 사카이야 다이치의 소설을 원작으로 아코 사건을 오이시 구라노스케 중심으로 새로운 시각으로 조명한 총 49회 방영된 드라마이다.
  • 주신구라 - 겐로쿠 태평기
    난조 노리오의 소설을 원작으로 한 겐로쿠 태평기는 도쿠가와 쓰나요시 시대의 아코 사건을 야나기사와 요시야스의 시점에서 새롭게 조명하고 기존 충신장 등장인물들의 설정을 비튼 1975년 NHK 대하 드라마로, 관동 지역에서 높은 시청률을 기록하고 엘리자베스 2세 여왕이 촬영 현장을 방문하기도 했다.
  • NHK 대하드라마 - 나라 훔친 이야기
    《나라 훔친 이야기》는 1973년 NHK에서 방영된 대하드라마로, 사이토 도산과 오다 노부나가의 관계를 중심으로 미노를 둘러싼 센고쿠 시대 이야기를 다루며, 사이토 도산과 오다 노부나가를 릴레이 주인공으로 설정하고 핸디캠을 최초로 도입하여 역동적인 연출을 시도, 당대 유명 배우들이 출연하여 주요 인물들의 갈등과 시대적 변혁을 드라마틱하게 묘사한 작품이다.
  • NHK 대하드라마 - 독안룡 마사무네
    1987년 NHK에서 방영된 대하드라마 《독안룡 마사무네》는 다테 마사무네의 생애를 그린 작품으로, 높은 시청률과 함께 역사 왜곡 논란 및 폭력성 비판이 있었으며, 한국 드라마 복수극 장르에 영향을 주었다는 평가를 받는다.
겐로쿠 요란 - [TV프로그램]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방송명겐로쿠 요란
장르텔레비전 드라마
방송 시간일요일 밤 8시 ~ 8시 45분
방송 분량45분
방송 기간1999년 1월 10일 ~ 12월 12일
방송 횟수전 49회
방송 채널NHK
제작진
책임 프로듀서스가노 다카유키
연출오오하라 마코토 외
원작후나바시 세이이치
각본나카지마 타케히로
출연자나카무라 칸쿠로
오오타케 시노부
히가시야마 노리유키
미야자와 리에
이시자카 코지
요시다 에이사쿠
이가와 히사시
아베 히로시
에모토 아키라
타쿠마 신
아다치 유미
스즈키 호나미
스가와라 분타
타키타 사카에
나카무라 우메노스케
무라카미 히로아키
마츠다이라 켄
쿄 마치코
하기와라 켄이치
음악이케베 신이치로
기타
이전 작품도쿠가와 요시노부
다음 작품아오이 도쿠가와 삼대

2. 등장인물

이 드라마는 해이해진 겐로쿠 시대의 세태와 5대 쇼군 도쿠가와 츠나요시의 정치에 항거하며 주군의 복수를 이루려는 아코번 가로 오이시 쿠라노스케를 중심으로 이야기가 전개된다. 쿠라노스케의 복수 대상인 기라 우에노스케와 그의 친척인 요네자와 번 우에스기 가문 사이의 갈등을 이용하여 자신의 권력을 키우려는 막부 측근 야나가와 요시야스, 그리고 그의 음모를 막으려는 요네자와 번 가로 이로베 마타시로 사이의 암투가 충신장 이야기를 더욱 복잡하고 흥미롭게 만든다.

각 등장인물의 상세한 정보와 담당 배우는 아래 문단을 참조하기 바란다.

2. 1. 오이시 가문


  • '''오오이시 쿠라노스케''' (5대 나카무라 칸쿠로)
  • : 아코번의 필두 가로. 엔포 6년(1678년), 20세 때 처음으로 에도에 갔다가 기시와라에서 주운 지갑을 계기로 이로베 야스베에와 알게 된다.[5] 낮잠 자는 것을 좋아하고 여자를 밝히는 등 태평한 면모를 보이지만, 실제로는 성실한 성격이며 주군에 대한 충성심이 깊다.[5] 키라 저택 습격 계획 단계에서는 혈판장을 통해 낭사들의 의지를 확인하고, 섣불리 행동하려는 이들에게 냉정하게 대처할 것을 촉구했다.[5] 오카루의 호감을 사고 있으며, 목욕 시중을 받기도 한다.[5]
  • '''리쿠''' (오타케 시노부)
  • : 쿠라노스케의 아내이자 주세의 어머니. 남편을 헌신적으로 지지한다.[5]
  • '''오오이시 마츠노죠 → 오오이시 주세''' (쿠마키 쇼 → 2대 나카무라 시치노스케)
  • : 쿠라노스케의 장남. 아버지와 동료들의 뜻에 감명받아 낭사에 합류한다.[5]
  • '''오마사''' (미나미 카호)
  • : 쿠라노스케가 아코번에 있을 때 들인 첩.[5]
  • '''오카루''' (아다치 유미)
  • : 시마바라의 젊은 기생. 손님으로 온 쿠라노스케의 인품에 반해 호감을 갖게 된다.[5] 아코번이 개역된 후 쿠라노스케의 하녀로 들어가지만, 솔직하고 거침없는 언행으로 다른 낭사들과 자주 충돌한다. 특히 하라 소자에몬과 오오타카 겐고를 경계하며 쿠라노스케에게 멀리하라고 조언하기도 한다.[5] 시간이 지나면서 성숙해져 쿠라노스케에게 정신적인 힘이 되어준다.[5] 쿠라노스케와 헤어지기 직전 그의 아이를 임신하지만, 부담을 주지 않기 위해 유곽으로 돌아가겠다고 밝게 말한다. 이후 쿠라노스케의 배려로 신도 겐시로에게 맡겨져 아들을 낳고, 겐시로와 리쿠의 도움으로 세상에서 자취를 감춘다.[5] 최종화에 등장하는 '5대 나카무라 칸자부로'가 그녀의 아들임을 암시한다.[5]
  • '''오오이시 라이모스케''' (아이카와 킨야)
  • : 쿠라노스케의 후견인.[5]
  • '''이시즈카 겐고베에''' (4대 나카무라 우메노스케)
  • : 쿠라노스케의 아내 리쿠의 아버지.[5]
  • '''오이시 쿠우''' (오노데라 하나 → 서상안 → 사카타 마이코)
  • : 쿠라노스케의 딸.[5]
  • '''오이시 루리''' (이타쿠라 미호)
  • : 쿠라노스케의 딸.[5]
  • '''오오이시 키치치요''' (나베쿠라 모도 → 키타오 와타루 → 카키모토 유키)
  • : 쿠라노스케의 차남.[5]
  • '''오키미''' (이이지마 리나)
  • : 쿠라노스케의 하녀.[5]
  • '''하치스케''' (사토 히카루)
  • : 쿠라노스케의 하인.[5]

2. 2. 아코 47사

오이시 쿠라노스케를 중심으로 아사노 나가노리의 복수를 위해 모인 47명의 무사들이다.

인물배우
호리베 야스베 (堀部安兵衛일본어) [5]아베 히로시
요시다 츄자에몬 (吉田忠左衛門일본어)야마모토 가쿠
하라 소우에몬 (原惣右衛門일본어)이가와 히사시
호리베 야헤에 (堀部弥兵衛일본어)무타 테이조
오타카 겐고 (大高源五일본어)타츠미 타쿠로
가타오카 겐고에몬 (片岡源五右衛門일본어)하시즈메 쥰
후와 카즈에몬 (不破数右衛門일본어)스기모토 텟타
간자키 요고로 (神崎与五郎일본어)미우라 코이치
마에하라 이스케 (前原伊助일본어)오구라 히사히로
오카노 키누에몬 (岡野金右衛門일본어)카즈야마 신고
야토 에몬시치 (矢頭右衛門七일본어)이마이 요츠바
오쿠다 마고타유 (奥田孫太夫일본어)록페이 나오마사
다케바야시 유이치 (武林唯七일본어)이카리 코지
오노데라 쥬우나이 (小野寺十内일본어)카와베 쿠조[6]
오이시 세자에몬 (大石瀬左衛門일본어)카지우라 아키오
지카마쓰 칸로쿠 (近松勘六일본어)마기
이소가이 쥬로자에몬 (礒貝十郎左衛門일본어)우치다 시게루
데라사카 키치에몬 (寺坂吉右衛門일본어)스가와라 카오리
오카지마 야소에몬 (岡嶋八十右衛門일본어)무라이 카츠유키
도미노모리 스케에몬 (富森助右衛門일본어)니시카와 코이노죠
하야미즈 토자에몬 (早水藤左衛門일본어)마나베 토시히로
마 키헤에 (間喜兵衛일본어)타무라 겐지
마 쥬우지로 (間十次郎일본어)카츠마타 타다시
마 신로쿠 (間新六일본어)노무라 켄이치로
가이가 야자에몬 (貝賀弥左衛門일본어)엔도 고
요시다 사와에몬 (吉田沢右衛門일본어)사루와카 유키
오노데라 코우에몬 (小野寺幸右衛門일본어)미야모토 히데키
오쿠다 사다에몬 (奥田貞右衛門일본어)후루미야 모토나리
마세 큐타유 (間瀬久太夫일본어)코이케 코지
마세 마고쿠로 (間瀬孫九郎일본어)미즈키 슌이치로
무라마쓰 키헤에 (村松喜兵衛일본어)나카야마 케이이치
무라마쓰 산타유 (村松三太夫일본어)하야시 리키
스가야 한노죠 (菅谷半之丞일본어)아마노 다이스케
요코가와 칸페이 (横川勘平일본어)아카이케 타카유키
스기노 쥬헤이지 (杉野十平次일본어)요코타 다이메이
아카바네 겐조 (赤埴源蔵일본어)나카무라 츄스케
기무라 오카에몬 (木村岡右衛門일본어)카사가와 후토시
센바 사부로베에 (千馬三郎兵衛일본어)이케다 마사오
나카무라 칸스케 (中村勘助일본어)하나자키 코이치
우시오다 마타노죠 (潮田又之丞일본어)이케다 테츠요
가야노 와스케 (茅野和助일본어)오카야스 야스키
구라하시 덴스케 (倉橋伝助일본어)오오시마 코이치
미무라 지로자에몬 (三村次郎左衛門일본어)야스오카 히데유키
가쓰타 신자에몬 (勝田新左衛門일본어)타나카 에이이치
야다 고로에몬 (矢田五郎右衛門일본어)코다마 키


2. 3. 아코 아사노 가문

;아사노 타쿠미노카미 - 히가시야마 노리유키

: 아코 아사노 가문의 당주.

;아사노 다이가쿠 - 아카사카 아키라

: 나가노리의 동생.

각 등장인물의 실제 역사적 사실 및 드라마와의 차이점 등 자세한 내용은 해당 인물 문서를 참조하기 바란다.[5]

  • 대석 내조스케( 大石内蔵助일본어 ):18대 나카무라 칸자부로(당시 5대 나카무라 칸쿠로)
  • : 아코번의 필두 가로. 엔포 6년(1678년), 20세 때 처음으로 에도에 갔을 때 기시와라에서 주운 지갑을 계기로 이로부 와시사부로와 알게 된다.
  • : 평소에는 낮잠을 즐기고 여색을 밝히는 등 태평한 모습을 보이지만, 실제로는 성실한 성격의 소유자이며 주군에 대한 충성심이 깊다.
  • : 키라 저택 습격 계획 단계에서, 혈판장을 통해 낭사들의 의지를 확인하고, 성급하게 행동하려는 이들에게 냉정하게 대처할 것을 촉구했다.
  • : 오카루의 호감을 사고 있으며, 목욕 중에 그녀가 등을 밀어주기도 했다.

  • 리쿠( 香林院|りく일본어 ):오타케 시노부
  • : 내조스케의 아내이자 주세의 어머니. 남편을 헌신적으로 지지하는 아내이다.

  • 대석 마츠노죠 → 대석 주세( 大石良金|大石主税일본어 ):쿠마키 쇼→2대 나카무라 시치노스케
  • : 내조스케의 장남. 아버지와 낭사들의 뜻에 감화되어 자신도 복수에 가담한다.

  • 오마사( おまさ일본어 ):미나미 카호
  • : 내조스케가 아코에 있을 때 들인 첩.

  • 오카루( お軽일본어 ):아다치 유미
  • : 시마바라의 젊은 기생. 손님으로 온 내조스케의 인품에 반해 그를 좋아하게 된다.
  • : 아코번이 폐지된 후, 내조스케에게 하녀로 고용된다. 처음에는 솔직하고 거침없는 언행 때문에 신도우 겐시로를 제외한 다른 낭사들과 자주 갈등을 빚었다. 특히 하라 소우에몬과 오오다카 겐고는 그녀를 '여우'라 부르며 멀리하라고 내조스케에게 여러 번 조언했다. 유곽 출신이라 거리낌이 없어서, 머리를 감던 중 찾아온 하라 소우에몬과 오오다카 겐고를 옷도 제대로 입지 않고 맞이하여 당황하게 만들기도 했다.
  • : 시간이 지나면서 정신적으로 성장하여 내조스케에게 큰 힘이 되어 주는 존재가 된다. 내조스케와 헤어지기 직전 그의 아이를 임신하지만, 그의 앞길에 방해가 되지 않으려고 "유곽으로 돌아가면 살 수 있다"며 씩씩하게 행동한다. 마지막에는 내조스케의 배려로 신도우 겐시로에게 맡겨지며, 최종화에서 아들을 출산한다. 이후 겐시로와 리쿠의 도움으로 아들과 함께 자취를 감춘다. 최종화에 등장하는 5대 나카무라 칸자부로가 그녀와 내조스케 사이의 아들임을 암시하는 장면이 있다.

  • 대석 라이모스케( 大石良重|大石頼母助일본어 ):아이카와 킨야
  • : 내조스케의 후견인.

  • 이시즈카 겐고베에( 石束毎公|石束源五兵衛일본어 ):4대 나카무라 우메노스케
  • : 내조스케의 아내 리쿠의 아버지.

  • 대석 쿠우( 大石くう일본어 ):오노데라 하나→서상안→사카타 마이코
  • : 내조스케의 딸.

  • 대석 루리( 大石るり일본어 ):이타쿠라 미호
  • : 내조스케의 딸.

  • 대석 요시치요( 大石吉之進|大石吉千代일본어 ):나베쿠라 모도→키타오 와타루→카키모토 유키
  • : 내조스케의 차남.

  • 오키미( おきみ일본어 ):이이지마 리나
  • : 내조스케 집안의 하녀.

  • 하치스케( 八助일본어 ):사토 히카루
  • : 내조스케 집안의 하인.

2. 4. 그 외의 아코 번사

각 등장인물의 역사적 사항 및 실제 역사와의 차이점 등은 해당 항목을 참조하기 바람.[5]

실제 인물극중 인물 (원문)담당 배우
신도 도시모토신도 겐시로에모토 아키라
호리베 타케요시호리베 안베에 (堀部安兵衛)아베 히로시
요시다 켄료요시다 츄자에몬 (吉田忠左衛門)야마모토 가쿠
하라 모토타츠하라 소우에몬 (原惣右衛門)이가와 히사시
호리베 카네마루호리베 야헤에 (堀部弥兵衛)무타 테이조
오오타카 타다오오오타카 겐고 (大高源五)타츠미 타쿠로
카타오카 타카후사카타오카 겐고에몬 (片岡源五右衛門)하시즈메 쥰
후와 마사타네후와 카즈에몬 (不破数右衛門)스기모토 테츠타
칸자키 노리야스칸자키 요고로 (神崎与五郎)미우라 코이치
마에하라 무네후사마에하라 이스케 (前原伊助)오구라 히사히로
오카노 카네히데오카노 키누에몬 (岡野金右衛門)카즈야마 신고
야타루 노리카네야타루 에몬시치 (矢頭右衛門七)이마이 요츠바
오쿠다 시게모리오쿠다 마고타유 (奥田孫太夫)록페이 나오마사
타케바야시 타카시게타케바야시 유이치 (武林唯七)이카리 코우지
오노데라 히데카즈오노데라 쥬우나이 (小野寺十内)카와베 쿠조[6]
오오이시 노부키요오오이시 세자에몬 (大石瀬左衛門)카지우라 아키오
치카마츠 유키시게치카마츠 칸로쿠 (近松勘六)마기
이소가이 마사히사이소가이 쥬로자에몬 (礒貝十郎左衛門)우치다 시게루
테라사카 노부유키테라사카 키치에몬 (寺坂吉右衛門)스가와라 카오리
오카지마 쓰네키오카지마 야소에몬 (岡嶋八十右衛門)무라이 카츠유키
토미모리 마사인토미모리 스케에몬 (富森助右衛門)니시카와 코이노죠
하야미즈 만교하야미즈 토우자에몬 (早水藤左衛門)마나베 토시히로
마 히로노부마 키헤에 (間喜兵衛)타무라 겐지
마 히로오키마 쥬우지로 (間十次郎)카츠마타 타다시
마 히로카제마 신로쿠 (間新六)노무라 켄이치로
카이가 토모노부카이가 야자에몬 (貝賀弥左衛門)엔도 고
요시다 켄사다요시다 사와에몬 (吉田沢右衛門)사루와카 유키
오노데라 히데토미오노데라 코우에몬 (小野寺幸右衛門)미야모토 히데키
오쿠다 유키타카오쿠다 사다에몬 (奥田貞右衛門)후루미야 모토나리
마세 마사아키마세 큐타유 (間瀬久太夫)코이케 코우지
마세 마사타츠마세 마고쿠로 (間瀬孫九郎)미즈키 슌이치로(현・미즈키 슌이치로)
무라마츠 히데나오무라마츠 키헤에 (村松喜兵衛)나카야마 케이이치
무라마츠 타카나오무라마츠 산타유 (村松三太夫)하야시 리키
스가야 마사토시스가야 한노죠 (菅谷半之丞)아마노 다이스케
요코카와 무네토시요코카와 칸페이 (横川勘平)아카이케 타카유키
스기노 지후사스기노 쥬페이지 (杉野十平次)요코타 다이메이
아카하니 시게카타아카하니 겐조 (赤埴源蔵)나카무라 츄스케
키무라 사다유키키무라 오카에몬 (木村岡右衛門)카사가와 후토시
센마 미츠타다센마 사부로베에 (千馬三郎兵衛)이케다 마사오
나카무라 마사타츠나카무라 칸스케 (中村勘助)하나자키 코이치
시오타 타카노리시오타 마타노죠 (潮田又之丞)이케다 테츠요
카야노 쓰네나리카야노 와스케 (茅野和助)오카야스 야스키
쿠라하시 타케유키쿠라하시 덴스케 (倉橋伝助)오오시마 코이치
미무라 카네쓰네미무라 지로자에몬 (三村次郎左衛門)야스오카 히데유키
카츠타 타케요시카츠타 신자에몬 (勝田新左衛門)타나카 에이이치
야다 스케타케야다 고로에몬 (矢田五郎右衛門)코다마 키


2. 5. 고케 키라·요네자와 우에스기 가문

;키라 코즈케노스케 - 이시자카 코지

: 고케(高家) 출신으로 칙사 접대의 지도역을 맡았다. 미남으로 명성이 자자했으며, 토미코에게 첫눈에 반했다. 첫 등장 시에는 검은 머리의 장년으로 아직 젊어 보이는 모습이다. 오랫동안 아코 사건의 낭사 습격에 두려움을 느꼈지만, 실제 습격 당시에는 침착하게 죽음을 받아들이는 당당한 태도를 보인다.

;토미코 - 나츠키 마리

: 키라 코즈케노스케의 아내.

;기라 요시치카 - 타키자와 히데아키 (아역: 타니노 오타)

: 우에스기 쓰나노리의 아들이자 키라 코즈케노스케의 양자. 양아버지인 코즈케노스케를 지키기 위해 47명의 낭사들과 싸우다 부상을 입는다.

;우에스기 쓰나노리 - 타쿠마 신

: 키라 코즈케노스케의 실제 아들(장남). 아코 낭사의 습격 당시, 가문이 개역당할 것을 각오하고 출병하려 했다.

;이로부 마타시로 - 마츠다이라 켄

: 요네자와 번 우에스기 가문의 가로(家老). 요시와라 유곽에서 오이시 쿠라노스케와 만나 친분을 쌓지만, 나중에 적대 관계가 된다. 습격을 두려워하며 보호를 요청하는 키라 코즈케노스케를 멀리한다. 센자카 헤이부의 뒤를 이어 에도 가로(江戸家老) 직책을 계승한다.

;센자카 헤이부 - 류 라이타

: 요네자와 번 우에스기 가문의 에도 가로.

;오준(묘카이니) - 타카오카 사키

: 이로부 마타시로를 섬기는 닌자이자 그의 애인. 이로부의 명령을 받아 오이시 쿠라노스케의 아들인 오이시 주세이에게 접근한다.

;아사지 - 오쿠나이 메구미

: 키라 코즈케노스케의 측실.

;고바야시 헤이하치로 - 마코토 나오야

: 키라 가문의 가로.

;시미즈 카즈가쿠 - 오모리 타카히토

: 키라 가문의 가신.

;야마요시 신파치 - 야마나카 토오루

: 우에스기 가문에서 파견된 키라 가문의 중신. 기라 요시치카를 따라 스와로 유배를 간다.

;사유다 손베에 - 마스토미 노부타카

: 키라 가문의 중신. 마찬가지로 기라 요시치카를 따라 스와로 유배를 간다.

;오요네 - 이즈미 치누

: 키라 가문의 여중두(女中頭, 시녀장).

각 등장인물의 역사적 사실 및 실제 역사와의 차이점 등에 대해서는 해당 인물의 개별 문서를 참조하십시오.[5]

2. 6. 쇼군 도쿠가와 가문


  • 도쿠가와 츠나요시 - 하기와라 켄이치
  • : 자식 복이 없어 류코의 제안을 받아들여 생류연민령을 발포한 쇼군이다. 이 정책으로 인해 주변 사람들과 거리가 멀어지게 된다. 아코 낭사들의 움직임을 경계하고 있었다. 어머니 게이쇼인의 영향을 많이 받은 인물로 묘사된다.
  • 게이쇼인 - 쿄 마치코
  • : 츠나요시의 어머니. 아들 츠나요시를 매우 아끼며 그의 쇼군 취임을 기뻐했다.
  • 타카츠카사 노부코 - 스즈카제 마요
  • : 츠나요시의 정실. 고셋케 중 하나인 타카츠카사 가문 출신이다.
  • 오덴노가타 - 스즈키 사와
  • : 츠나요시의 측실. 츠나요시와의 사이에서 1남 1녀를 두었다.
  • 오스케 - 히라사와 카야
  • : 츠나요시의 측실.
  • 토키와이 - 카와노 미유키
  • : 츠나요시의 측실이자 오오쿠 총괄 책임자(오토시요리).
  • 도쿠가와 이에츠나 - 호리우치 마사미
  • : 전임 쇼군이자 츠나요시의 형.
  • 츠루히메 - 니시자와 미유→아이카와 마나미→이토우 마이
  • : 츠나요시의 장녀. 후에 기슈 도쿠가와가로 시집간다.
  • 도쿠가와 토쿠마츠 - 타케하라 이사무
  • : 츠나요시의 적장자.
  • 코시지 - 아치와 사토미
  • : 츠나요시의 시녀.

2. 7. 야나기사와 가문


  • 야나기사와 요시야스: 쇼군 쓰나요시의 총애를 받는 인물로, 그의 실수를 은폐하기 위해 아코 번의 폐번을 도모한다. (배우: 무라카미 히로아키)[5]
  • 소메코(이이즈카 소메코): 요시야스의 측실. 다테바야시 번에 있을 때 오카지마 타다쓰구와 사랑을 맹세한 사이였으나, 쓰나요시의 눈에 들게 된다. 하지만 쓰나요시의 생모인 게이쇼인에 의해 오오쿠 입성이 저지되고, 요시야스의 측실로 보내진다. 이후 오카지마 타다쓰구와 밀회를 거듭하여 아들 요시사토를 낳는다. (배우: 스즈키 호나미)[5]
  • 사다코(소메시 사다코): 요시야스의 정실. 자식은 없지만 요시야스와 부부 사이는 좋다. (배우: 시노하라 료코)[5]
  • 마치코(쇼신마치 마치코): 요시야스의 측실. 교토공가인 쇼신마치 가문 출신이다. (배우: 우미노 케이코)[5]
  • 야나기사와 요시사토: 소메코의 아들. 실제 아버지는 오카지마 타다쓰구이지만, 요시야스의 아들로 자란다. (배우: 아다치 신페이 → 아사리 요스케타카하시 이세)[5]
  • 사루하시 무사노스케: 요시야스의 밀정으로 활동한다. (배우: 야나기사와 신고)[5]
  • 우라사토: 소메코의 고모. 출세를 위해 조카 소메코를 쓰나요시에게 소개했으나, 소메코의 오오쿠 입성이 좌절되고 야나기사와 가문으로 함께 오게 되자 불만을 품는다. (배우: 히로타 레오나)[5]

2. 8. 막부


  • 도쿠가와 츠나요시: 하기와라 켄이치
  • : 5대 쇼군. 마더 콤플렉스 성향을 보이며, 어머니 게이쇼인의 영향을 많이 받는다. 자식이 귀하여 승려 류코의 제안을 받아들여 생류연민령을 발포하나, 이로 인해 주변의 반감을 사기도 한다. 낭사들의 움직임에 경계심을 보인다.
  • 게이쇼인: 교우 마치코
  • : 츠나요시의 생모. 아들에 대한 애정이 지극하며, 츠나요시의 쇼군 취임을 크게 기뻐한다. 츠나요시의 후계 문제에 깊이 관여한다.
  • 다카츠카시 노부코: 스즈카제 마세
  • : 츠나요시의 정실. 고셋케 중 하나인 다카츠카사가 출신이다.
  • 오덴노카타: 스즈키 사와
  • : 츠나요시의 측실. 츠나요시와의 사이에서 츠루히메와 토쿠마츠를 낳았다.
  • 다이덴지: 히라사와 쿠사
  • : 츠나요시의 측실.
  • 토키와이: 카와노 미유키
  • : 츠나요시의 측실이자 오오쿠 총괄 책임자(総取締).
  • 도쿠가와 이에츠나: 호리우치 마사미
  • : 4대 쇼군. 츠나요시의 형이다.
  • 츠루히메: 니시자와 미유→아유카와 마나미→이토 스이
  • : 츠나요시의 장녀. 후에 기슈 도쿠가와가에 시집간다.
  • 토쿠마츠: 타치하라 유타케
  • : 츠나요시의 적장자였으나 요절한다.
  • 코시지(츠나요시의 시녀): 아치와 사토미


인물배우비고
센고쿠 히사나오타키타 사카에막부의 오오메츠케.
아라키 마사하네니시오카 토쿠마막부의 오오메츠케.
마키노 나리사다콘도 마사오미소바요닌. 츠나요시가 다테바야시 번주 시절부터의 측근으로, "이제부터는 소바요닌의 시대"라고 말하며 권세를 누린다.
홋타 마사토시무라이 쿠니오다이로. 재정 재건을 위해 노력하며 사치 금지령을 오오쿠에도 적용하려다 츠나요시와 대립한다.
사카이 다다키요사가와 테츠로전임 쇼군 도쿠가와 이에츠나 시절의 다이로. "하마 쇼군"이라 불리며 권세를 누렸으나 츠나요시의 쇼군 취임 후 실각하고 실의 속에서 병사한다. 츠나요시는 그의 죽음에 자결 의혹을 품고 조사를 시도했으나, 시신이 서둘러 화장되어 무산된다.
쓰치야 마사나오신스이 산쇼로주. 기라 코즈케노스케와 가까운 관계이다.
오기와라 시게히데마스 타케시간정봉행. 화폐 개주 등을 통해 막부 재정을 운영한다.
이나바 마사야스혼다 히로타로와카도시요리. 아사노 나가노리의 사촌으로, 에도 성 내에서 칼부림 사건을 일으킨다.
쓰치야 미치나오하기와라 나가레하타모토. 로주 쓰치야 마사나오의 친척으로, 47사에 대해 호의적인 태도를 보인다.
오카도 시게토모나마세 카츠히사메츠케.
쇼다 야스토시호타루 유키지로오오메츠케.
가지카와 요리테루오카야마 하지메루스이. 아사노 나가노리가 성 안에서 칼을 뽑았을 때 그를 제지한 인물 중 하나이다.
오쿠보 다다토모카미야마 히로시로주.
아베 마사타케카치 야스유키로주.
오가사와라 나가시게무네치카 하루미로주. 기라 코즈케노스케와 관계가 깊으며, 낭사들의 습격 당일 기라 저택 다회에 참석했다.
이나바 마사미치마키구치 모토미교토 소시다이. 이나바 마사야스의 칼부림 사건에 연좌되어 파면된다.
사나다 노부오토아베 사다오하타모토.
우치다 모토토모이시이 켄이치하타모토.
사카키바라 마사요시마츠이 노리오하타모토.
아구리와타나베 에리마키노 나리사다의 정실.
야스코무쿠노키 미와마키노 나리사다의 딸.
류코사사이 에이스케승려. 게이쇼인의 의뢰로 츠나요시의 후계자 탄생을 위한 기도를 올린다. 아이가 태어나지 않자 츠나요시의 전생 업보 때문이라고 둘러대며 생류연민령 발포에 영향을 미친다.
료켄츠키무라 에이조승려.
시나쿠보 아키라승려.



각 등장인물의 역사적 사실 및 실제 역사와의 차이점 등에 대해서는 해당 인물의 개별 문서를 참조할 필요가 있다.[5]

2. 9. 다이묘

다이묘 (관직명)배우비고
세키가와 쓰나토시 (에치고노카미)스가와라 겐타
다무라 타테아키 (우쿄다이후)키타무라 소이치로
토다 우지사다 (사이고쇼)이소베 벤
다테 무라토요 (사쿄스케)나가모리 에이지
히지카타 유키토요 (이치쇼)쿠사미 준페이
와키사카 야스테루 (아와지노카미)히사토미 유이하루
사나다 노부토시 (이가노카미)쿠사나기 료이치누마타 소동으로 개역됨.
사나다 노부유키 (사나다 노부네)[7]아베 사다오노부토시의 적남. 아카호(赤穂)에 유배됨.
가토 아키히데 (에치고노카미)시카우치 타카시
후지도우 타카히사 (이즈미노카미)후지도우 신지
야마우치 토요아키 (다이젠노스케)오이시 케이타
나베시마 나오유키 (셋쓰노카미)이시즈카 히데히코
키노시타 코마사다 (히고노카미)토리키 모토히로
마쓰다이라 스케토시 (아키노카미)사이키 시게루



각 등장인물의 역사적 사실 및 실제 역사와의 차이점 등에 대해서는 해당 인물의 문서를 참조.[5]

2. 10. 제번 무사

각 등장인물의 역사적 사항 및 실제 역사와의 차이점 등에 대해서는 해당 항목을 참조하십시오.[5]

  • 오카지마 다다쓰구(岡島忠嗣) (요시다 에이사쿠(吉田栄作)): 극중 오리지널 캐릭터이다. 개역(改易)된 누마타번(沼田藩) 가로의 아들로, 조슈 누마타에서 소메코와 사랑을 맹세한 사이이다. 원래 난입에 참가할 예정이었던 테라사카 기치에몬(寺坂吉右衛門) 대신 참가하여 난입 후에도 살아남아 사건의 전말을 이야기하는 역할을 맡는다.
  • 오카지마 이요(岡島伊代) (오카모토 아야(岡本綾)): 다다쓰구의 여동생이다. 오빠의 명령을 받고 기라 저택에 하녀로 들어가 내부 사정을 정탐하지만, 정체가 발각되어 비극적인 최후를 맞이한다.
  • 오카지마 시게타다(岡島成忠) (나카야마 진(中山仁))
  • 오카지마 다다무네(岡島忠宗) (고치 토세이(高知東生))
  • 오테쓰(おてつ) (시부야 코토노(渋谷琴乃))
  • 카야노 시치로자에몬(萱野七郎左衛門) (우메노 야스야스(梅野泰靖)): 카야노 산페이(萱野三平)의 아버지이다.
  • 카야노 시게미치(萱野重通) (데빗 이토(デビット伊東)): 카야노 산페이의 형이다. 동생 산페이가 난입에 참가하려 하자, 가문의 단절을 우려하여 동생과 갈등을 겪는다.
  • 신도 시치로자에몬(進藤七郎右衛門) (가토 다케시(加藤武))
  • 호리우치 덴자에몬(堀内伝右衛門) (이시다 타로(石田太郎))[8]
  • 하라다 겐시로(原田源四郎) (이다 모토스케(飯田基祐))
  • 쓰루미 쿠라조스케(鶴見内蔵助) (사토 마사루(佐藤允))
  • 이시이 마타자에몬(石井又左衛門) (미야오 스스무(宮尾すすむ))

2. 11. 에도 사람들


  • 하나부사 잇초 - 카타오카 츠루타로
  • : 에도에서 인기를 얻은 화가.[5]
  • 야마가 소코 - 이토 타카오 분
  • : 군사학자. 기라 우에노스케와 깊은 관계를 맺고 있다. 그의 저서 '세이쿄 요로쿠'(聖教要録)가 언급되지만, 아사노 다쿠미노카미는 읽어보지 않았다고 말한다.
  • 야마다 소헨 - 마츠무라 타츠오
  • : 다도가. 기라 우에노스케와 깊은 관계를 맺고 있으며, 12월 14일 기라 저택에서 열린 다회에 참석한다.
  • 기노쿠니야 분자에몬 - 라사르 이시이 분
  • : 에도에서 손꼽히는 거상으로, 호화로운 생활을 한다. 통칭 '기문'(紀文).
  • 다카라이 기카쿠 - 구니모토 다케하루 분
  • : 하이쿠 시인. 하나부사 잇초, 기노쿠니야 분자에몬과 교류한다.
  • 핫토리 란세쓰 - 토지 타카오 분
  • 스기야마 산푸 - 노무라 신지 분
  • 나라야 모자에몬 - 시마다 큐사쿠 분
  • 아야세야 큐베이 - 츠무라 타카시 분
  • 이쿠 - 네모토 리츠코 분
  • 오츠야 - 나카야마 에미리
  • 토요마츠 - 단칸 분
  • : 오츠야의 아버지이자 목수 두목.
  • 야마지 - 오카모토 마미 분
  • 카라츠 누이노스케 - 코모토 마사히로
  • 솜파치 - 야마다 마리야 분
  • 야에가키 - 타치카와 요코 분
  • : 기시와라의 유녀였으나, 후에 하나부사 잇초의 아내가 된다.
  • 초대 나미키 센류 - 쇼후쿠테이 츠루베
  • 5대 나카무라 간자부로 - 나카무라 칸쿠로 분 (1인 2역)
  • : 나카무라자의 주인. 아코 사건을 소재로 한 가부키 공연(가나데혼 추신구라)을 기획하여 이익을 얻으려 한다.

2. 12. 그 외


  • 코벤 법친왕: 나카무라 하시노스케
  • 공변법친왕: 3대째 나카무라 하시노스케
  • 쇼닌토미츠: 이토 도시토
  • 코노에 모토히로: 이시하마 아키라
  • 코노에 이에히로: 아사쿠라 신지
  • 다카쓰카사 카네히로: 가시라 타카오
  • 사토 나오카타: 아오노 다케시 (목소리만)
  • 오기스 쇼라이: 우에스기 쇼조
  • 하야시 다이가쿠토: 타나카 료이치 (목소리만)
  • 테라이 겐케이: 이토 테츠야
  • 호리우치 겐자에몬: 나카노 세이야
  • 』의 시테 역할을 맡은 가부키 배우: 12대째 이치카와 단쥬로
  • 코야마야 주인 야헤이: 4대째 카츠라 미키스케
  • 야마무라야 킨베이: 후루타 신타
  • 우키바시 다이후: 스기모토 아야
  • 후지오: 하노 아키노리
  • 타마지: 오자와 마주
  • 무라: 이케다 마사코
  • 오겐: 이시이 토미코
  • 유녀 신주: 아사오카 미츠네
  • 사사야 주인 세이우에몬: 아키시카 산마

각 등장인물의 역사적 사항 및 실제 역사와의 차이점 등에 대해서는 해당 항목을 참조하십시오.[5]

3. 줄거리

하리마 아코 번의 가로(家老) 오이시 쿠라노스케는 평소 태평한 인물로 알려졌으나, 번주 아사노 다쿠미노카미의 신임이 두터웠다. 그러나 번주가 에도 성 내에서 기라 코즈케노스케에게 칼을 휘두른 사건, 이른바 송림 복도 사건이 발생하면서 평온은 깨진다.

당시 쇼군 도쿠가와 츠나요시와 그의 측근 야나가와 요시야스는 아사노에게만 당일 할복을 명하고 기라에게는 벌을 내리지 않는 편파적인 판결을 내린다. 이에 아코 번 내에서는 복수 여론이 들끓었으나, 오이시 쿠라노스케는 가문 재흥을 먼저 도모한다. 하지만 이마저 야나가와의 계략으로 무산되고 아코 번은 개역(改易)되어 번사들은 낭인 신세가 된다.[5]

결국 오이시 쿠라노스케는 막부의 부당한 처사에 항의하기 위해 기라에 대한 복수를 비밀리에 계획한다. 한편, 야나가와는 이 복수를 이용해 기라의 친척인 요네자와 번 우에스기 가문과 아사노 본가인 히로시마 번 아사노 가문 모두를 몰락시키려는 음모를 꾸민다. 요네자와 번 가로 이로부 마타시로는 야나가와의 계략을 간파하고 이를 저지하려 움직이면서, 오이시, 야나가와, 이로부 세 남자의 치열한 책략 싸움이 시작된다.[5]

3. 1. 발단: 겐로쿠 시대의 불안

하리마국 아카호 번의 가로(家老)인 오이시 쿠라노스케는 평소 "낮잠 자는 등불"이라 불릴 만큼 놀기 좋아하고 태평한 성격이었다. 그러나 사교성이 좋고 조정 능력이 뛰어나 번의 가신들과 백성들에게 인기가 많았으며, 번주인 아사노 다쿠미노카미로부터 깊은 신임을 받았다.

평온했던 아카호 번에 큰 충격을 준 사건이 발생했다. 바로 에도 성 내의 소나무 복도에서 벌어진 칼부림 사건, 즉 아코 사건의 발단이 된 '마츠노 오로카 사건'(松之大廊下事件)이다. 이 사건은 태평했던 가로 오이시의 삶을 송두리째 바꿔 놓았다. 당시 쇼군이었던 도쿠가와 츠나요시와 그의 측근 야나가와 요시야스는 사건 당일 다쿠미노카미에게 할복을 명했다. 반면, 칼에 맞은 피해자였던 기라 코즈케노스케에게는 아무런 처벌도 내리지 않았다.

싸움이 벌어졌을 때 양측 모두를 처벌하는 것이 일반적인 법도였으나, 이를 무시한 막부의 편파적인 판결에 아카호 번 내에서는 기라 코즈케노스케에 대한 복수 여론이 들끓었다. 하지만 오이시 쿠라노스케는 성급히 행동하려는 번사들을 진정시키고, 다쿠미노카미의 동생인 아사노 나가히로(浅野長広, 통칭 다이가쿠노죠)를 새로운 번주로 삼아 가문(아카호 아사노 가문)의 재흥을 막부에 청원하는 길을 우선 모색했다.

그러나 야나가와 요시야스의 계략으로 인해 아카호 번은 결국 개역(改易, 영지 몰수) 처분을 당해 몰락했고, 번에 소속되었던 무사들은 모두 봉록을 잃고 낭인 신세가 되었다.

오이시 쿠라노스케는 기라 코즈케노스케에게 복수함으로써 막부의 부당한 처사에 항의할 것을 비밀리에 계획하고, 속마음을 감춘 채 때를 기다렸다. 한편, 야나가와 요시야스는 아카호 낭인들의 복수를 이용하여 또 다른 음모를 꾸몄다. 그는 기라 코즈케노스케의 친아들(우에스기 쓰나노리)이 양자로 들어가 있던 요네자와 번우에스기 가문과 아카호 아사노 가문의 본가인 히로시마 번아사노 본가 사이에 분쟁을 유도하여, 두 가문을 합쳐 57만 석에 달하는 영지를 몰수하려 했다. 요네자와 번의 가로인 이로베 야스나가(色部安長, 통칭 마타시로)는 야나가와의 계략을 간파하고, 아카호 낭인들의 복수를 막기 위해 분주하게 움직였다.

이로써 오이시, 야나가와, 이로베 세 사람의 치열한 책략 싸움이 시작되었다.

3. 2. 전개: 칼부림 사건과 아코 번의 몰락

하리마아코 번의 가로(家老)인 오이시 쿠라노스케는 평소에는 놀기 좋아하고 태평한 성격으로 알려져 있었으나, 사교성이 뛰어나 번의 가신들과 백성들에게 인기가 많았고 번주인 아사노 다쿠미노카미의 깊은 신임을 받고 있었다.

그러나 평온했던 아코 번에 큰 사건이 터진다. 번주 아사노 다쿠미노카미가 에도 성 안의 송림 복도(松之大廊下)에서 기라 코즈케노스케에게 칼을 휘두른 사건이 발생한 것이다. 이 사건으로 당시 쇼군이었던 도쿠가와 츠나요시와 그의 측근 야나가와 요시야스는 아사노 다쿠미노카미에게 당일 할복을 명했다. 하지만 정작 사건의 피해자인 기라 코즈케노스케에게는 아무런 처벌도 내리지 않았다.

싸움이 벌어졌을 때 양측 모두를 처벌하는 것이 일반적인 법이었음에도 불구하고, 이를 무시한 막부의 판결에 아코 번 내에서는 기라에 대한 복수를 해야 한다는 분위기가 강해졌다. 하지만 오이시 쿠라노스케는 흥분한 번사들을 진정시키고, 아사노 다쿠미노카미의 동생인 아사노 다이가쿠노죠 히로를 새로운 번주로 삼아 가문을 다시 일으키고자 막부에 호소했다.

그러나 야나가와 요시야스의 계략으로 인해 아코 번은 결국 영지를 몰수당하는 개역(改易) 처분을 받아 몰락하게 되었고, 아코 번의 번사들은 모두 봉록(俸祿)을 잃고 로닌(浪人) 신세가 되었다.

3. 3. 위기: 오이시 쿠라노스케의 고뇌와 결단

하리마 아카호 번의 가로(家老)였던 오이시 쿠라노스케는 평소 "낮잠 자는 등불"이라 불릴 정도로 놀기 좋아하고 태평한 성격의 소유자였다. 그러나 그는 뛰어난 사교성과 조정 능력을 갖추어 번의 무사들과 백성들로부터 인기가 높았으며, 번주인 아사노 다쿠미노카미의 깊은 신임을 받았다.

평화롭던 아카호 번에 큰 사건이 터졌다. 번주 아사노 다쿠미노카미가 에도 성의 소나무 복도에서 기라 코즈케노스케에게 칼을 휘두른 사건, 이른바 송림 복도 사건이 발생한 것이다. 이 사건은 태평하게 지내던 가로 오이시 쿠라노스케의 삶을 송두리째 바꿔 놓았다. 당시 쇼군 츠나요시와 그의 측근 야나가와 요시야스는 사건 당일 아사노 다쿠미노카미에게만 할복을 명하고, 사건의 다른 당사자인 기라 코즈케노스케에게는 아무런 처벌도 내리지 않았다.

싸움의 양측을 모두 처벌하는 통상적인 법 원칙(겐카료세이바이)을 무시한 막부의 편파적인 판결에 아카호 번 내에서는 기라에 대한 복수를 주장하는 목소리가 높아졌다. 하지만 쿠라노스케는 성급히 행동하려는 번사들을 진정시키고, 다쿠미노카미의 동생인 아사노 나가히로(다이가쿠노죠)를 새로운 번주로 세워 가문을 다시 일으키고자 막부에 청원했다. 그러나 야나가와의 방해 공작으로 인해 아카호 번은 결국 영지를 몰수당하고 폐지되었으며, 번에 소속되었던 무사들은 모두 봉록을 잃고 로닌 신세가 되었다.

가문 재흥의 길이 막히자, 쿠라노스케는 기라 코즈케노스케에게 복수함으로써 막부의 부당한 처사에 항의하기로 마음먹는다. 그는 자신의 속내를 숨긴 채 복수를 실행할 기회를 조용히 엿보기 시작했다. 한편, 야나가와는 아카호 로닌들의 복수를 이용하여 더 큰 음모를 꾸미고 있었다. 그는 기라의 친아들이 양자로 들어가 있는 요네자와 번 우에스기 가문과 아카호 로닌들 사이에 분쟁을 일으켜, 히로시마 번의 아사노 본가와 요네자와 번의 우에스기 가문을 함께 몰락시키려 했다. 이는 총 57만 석에 달하는 영지를 제거하려는 거대한 계략이었다. 요네자와 번의 가로인 이로부 마타시로는 야나가와의 이러한 음모를 간파하고, 아카호 로닌들의 복수를 막기 위해 발 빠르게 움직이기 시작했다.

이렇게 오이시 쿠라노스케, 야나가와 요시야스, 이로부 마타시로, 세 남자의 치열한 책략 싸움이 막을 올렸다.

3. 4. 절정: 복수

(작성할 내용 없음 - 주어진 원본 소스에는 '절정: 복수' 섹션에 해당하는 실제 복수 장면에 대한 내용이 포함되어 있지 않습니다. 원본 소스는 사건의 발단과 배경, 인물들의 초기 동기만을 다루고 있습니다.)

3. 5. 결말: 엇갈린 평가와 역사적 교훈

(작성할 내용 없음)

4. 역사적 배경

이 드라마는 에도 시대 중에서도 특히 겐로쿠 시대(1688년 ~ 1704년)를 배경으로 한다. 이 시기는 표면적으로는 문화가 융성하고 경제가 발전한 것처럼 보였으나, 사회 기강이 해이해지고 사무라이 정신이 퇴색했다는 비판도 받기도 했다. 드라마는 이러한 겐로쿠 시대의 사회상과 5대 쇼군 도쿠가와 츠나요시의 정치에 대한 비판적 시각을 담고 있다.

주요 소재는 일본 역사상 유명한 복수극인 충신장(아코 사건)이다. NHK 대하드라마에서 충신장을 소재로 한 작품으로는 1964년의 『적벽낭자』, 1975년의 『겐로쿠 타이헤이키』, 1982년의 『고개의 군상』에 이어 네 번째 작품이다[1].

드라마의 핵심 갈등은 주군 아사노 타쿠미노카미의 원수를 갚으려는 아코 번의 가로 오이시 쿠라노스케의 복수 과정과 함께, 당시 막부의 실권자였던 소바요닌 야나가와 요시야스의 정치적 음모를 중심으로 전개된다. 야나가와는 기라 우에노스케와 아사노 타쿠미노카미 사이의 갈등을 이용하여 기라의 친척인 요네자와 번의 우에스기 가문과 아코 번의 낭인들을 대립시키고, 이를 통해 자신의 정치적 입지를 강화하려 한다. 이러한 야나가와의 계략에 맞서 요네자와 번의 가로 이로베 마타시로가 가문의 명예와 번의 안위를 지키기 위해 노력하는 모습도 그려진다. 즉, 단순한 복수극을 넘어 겐로쿠 시대의 정치적 암투와 권력 다툼을 함께 조명하고 있다.

이 작품 이후 NHK 대하드라마에서는 오랫동안 겐로쿠 시대나 충신장을 주요 배경으로 하는 작품이 제작되지 않았다. 또한, 에도 시대를 다루더라도 초대 쇼군 도쿠가와 이에야스의 집권 초기나 막말 시기가 아닌, 상대적으로 평온했던 에도 시대 중기를 배경으로 한 작품 역시 2025년 방영 예정인 『베라보우~쓰타 중영화의 꿈 이야기~』까지 한동안 만들어지지 않았다.

5. 제작진


  • 극본: 나카지마 다케히로
  • 원작: 후나하시 세이이치 (『신·충신장』에서)
  • 음악: 이케베 신이치로
  • 테마 음악 연주: NHK 교향악단
  • 테마 음악 지휘: 아키야마 카즈요시
  • 연주: 도쿄 콘서츠
  • 시대 고증: 타케우치 마코토
  • 풍속 고증: 오자와 히로시
  • 건축 고증: 히라이 세이
  • 의상 고증: 고이즈미 키요코
  • 안무・동작 지도: 사루와카 세이자부로
  • 칼싸움・무술 지도: 하야시 쿠니시로
  • 노 지도: 키타 로쿠페이타 (16대)
  • 일본 음악 지도: 혼죠 슈타로
  • 교토 사투리 지도: 오하라 조코
  • 향도 지도: 산죠니시 고토
  • 다도 지도: 사토 소세이
  • 불교 의식 지도: 우라이 마사아키
  • 촬영 협력: 효고현, 아코시, 기라정, 야마가타현, 요네자와시, 산케이엔
  • 자료 제공: 미요시 이치로, 스즈키 에츠미치, 오노 에이, 호가키 타카유키, 코바야시 타카시
  • CG 제작: 코바타 마사요시, 요시다 유지, 우마지마 료
  • 타이틀 영상: 카타오카 케이지, 사카 미사코
  • 제목 글씨: 와타나베 히로히데
  • 내레이션: 쿠니이 마사히코, 키시모토 타마에 (겐로쿠 여행)
  • 제작 총괄: 스가노 타카유키
  • 제작: 후루카와 호이치로
  • 미술: 후지이 토시키, 키시 소코, 코바야시 후미유키
  • 기술: 코바야시 미노루, 와타나베 히로카즈
  • 음향 효과: 야마다 마사유키, 이와사키 스스무, 오타 가쿠지, 우스이 마사아키
  • 촬영: 카와무라 료, 모리모토 유지
  • 조명: 이이사케자키 신지, 사노 키요타카
  • 음향: 마츠모토 쓰네오, 스즈키 키요토, 토미자와 유타카, 야마나카 요시히로
  • 영상 기술: 나카노 아키라, 마키시마 키요시
  • 미술 진행: 킨다 유지, 이노우에 히로미, 코바야시 다이스케
  • 기록: 이노우에 히로미
  • 편집: 도쿠시마 사요코
  • 연출: 오하라 마코토, 카타오카 케이지, 엔도 마사후미, 우미베 키요시, 모토키 카즈히로

6. 평가

에도 시대를 다룬 작품으로는 1995년의 『8대 장군 요시무네』 이후 처음이며, 충신장을 소재로 한 작품으로는 1982년의 『고개의 군상』 이후, 그리고 1964년의 『적벽낭자』를 포함하여 네 번째 작품이다. 원작은 후나하시 세이이치의 『신·충신장』으로, 후나하시의 작품이 대하드라마로 만들어진 것은 1963년의 첫 대하드라마 『꽃의 생애』 이후 처음이다. 주연을 맡은 5대째 나카무라 칸쿠로(훗날 18대째 나카무라 칸사부로)는 1988년 『다케다 신겐』 이후 네 번째 대하드라마 출연이자 첫 주연이었다.

드라마는 원수를 갚음으로써 해이해진 겐로쿠 시대의 세태와 5대 쇼군 도쿠가와 츠나요시의 정치에 항의하려는 오이시 쿠라노스케의 이야기를 다룬다. 또한, 기라 우에노스케의 친척인 요네자와 번 우에스기가와 적벽낭자를 서로 다투게 하여, 자신의 권세를 위해 양 번(藩)의 몰락을 노리는 야나가와 요시야스, 그리고 그의 음모를 막으려는 요네자와 번 가로 이로베 마타시로 사이의 암투를 중심으로 충신장을 그리고 있다.

본작은 방송 중반까지 아반타이틀을 채택하지 않았다. 그 후, 본방송 때만 "겐로쿠료란 1분 전"이라는 미니 코너가 마련된 후에 정식으로 아반타이틀을 도입했다.

오프닝은 겐로쿠 시대와 충신장을 조합한 활기차고 떠들썩한 분위기를 담은 테마곡과 함께, 겐로쿠 문화의 하나인 가부키조루리를 형상화한 CG 타이틀 백이 사용되었다. 오프닝 시작 부분의 후스마가 열리며 나타나는 공작과 다음 컷에서 거슬러 오르는 시냇물의 매화나무는, 충신장을 다룬 1975년도의 『겐로쿠 타이헤이키』에서도 타이틀 백에 사용된 오가타 코린 필의 "공작무궁화도 병풍"·"홍백매도 병풍"을 모티브로 하고 있다. 다만, 본작은 꽃과 예능, 무용을 테마로 한 영상이므로, 양자의 공통점은 이 두 점에 그친다. 이케베 신이치로 작곡의 메인 테마곡은 시간 관계상 구성상 중요한 재현 부분(주제)이 잘려나가 버렸다.

대하드라마를 많이 연출한 오하라 마코토 수석 연출가의 실질적 마지막 대하 작품이다. 과거 대하 작품에서 주역·준주역을 연기한 스타들이 많이 조역으로 출연한 것 외에도, 가부키 배우나 가부키 출신의 배우가 많이 기용되었다. 또한, 그 후의 대하드라마에서 주역을 연기하게 되는 타키자와 히데아키미야자키 아오이·아베 사다오도 더하면, 대하 주연 경험자의 출연이 가장 많은 작품이 되고 있다.

2023년 현재, 이 작품 이후 대하드라마에서 충신장을 비롯한 겐로쿠 시대를 무대로 한 작품은 제작되지 않았다. 또한, 에도 시대 중 도쿠가와 이에야스의 생존 시대(1616년 이전)와 막말 이외를 무대로 한 작품의 제작도, 18세기 후반을 무대로 하는 2025년 예정의 『베라보우~쓰타 중영화의 꿈 이야기~』까지 중단되었다.

주연 배우 나카무라 칸쿠로(방송 6년 후인 2005년에 18대째 나카무라 칸사부로를 계승)가 2012년 12월 5일에 타계했기 때문에, 같은 해 12월 9일에 NHK 아카이브에서 제47화 "47인의 討ち入り", 12월 29일에 BS프리미엄에서 총집편 전4화가 재방송되었다.

2019년 방송의 『이다텐~도쿄 올림픽 이야기~』에서는 이야기 전반부에서, 본작의 주연인 5대째 칸쿠로의 장남인 6대째 나카무라 칸쿠로가 주연을 맡았다. 대하드라마에서 부자(父子)가 대를 이어 주연을 맡은 사례는 오가타 켄·오가타 나오토의 선례가 있지만, 동일한 예명으로 주연을 맡은 것은 이것이 처음이다. 후반부는 본작에서 사나다 노부유키를 연기한 아베 사다오가 주연을 맡았다.

평균 시청률은 20.2%, 최고 시청률은 28.5%[1]이다.

7. 시청률

평균 시청률은 20.2%, 최고 시청률은 28.5%를 기록했다[1]. 시청률 조사는 비디오리서치가 관동 지역을 대상으로 실시했다[1].

8. 기타

에도 시대를 다룬 작품으로는 1995년의 『8대 장군 요시무네』 이후 처음이며, 충신장을 소재로 한 작품으로는 1982년의 『고개의 군상』 이후, 그리고 대하드라마 초기인 1964년의 『아코 로시』 이후 네 번째 작품이다. 원작은 1950년대 후반부터 1960년대 초반에 걸쳐 연재된 후나하시 세이이치의 소설 『신·충신장』(新・忠臣蔵일본어)이다. 후나하시 세이이치의 작품이 대하드라마로 만들어진 것은 1963년 첫 대하드라마인 『꽃의 생애』 이후 처음이다. 주연을 맡은 5대째 나카무라 칸쿠로(훗날 18대째 나카무라 칸사부로)는 1988년 『다케다 신겐』 이후 11년 만의 대하드라마 출연이었으며, 네 번째 출연 만에 주연으로 발탁되었다.

이 드라마는 원수 갚기를 통해 해이해진 겐로쿠 시대의 세태와 5대 쇼군 도쿠가와 츠나요시의 정치에 항의하려는 오이시 쿠라노스케, 기라 코즈케노스케의 친척인 요네자와 번 우에스기 가문과 아코 로시 사이의 갈등을 조장하여 자신의 권력을 위해 양 번(藩)의 몰락을 노리는 야나기사와 요시야스, 그리고 야나기사와의 음모를 막으려는 요네자와 번의 가로 이로베 마타시로 등 세 인물의 암투를 중심으로 충신장 이야기를 그리고 있다.

방송 중반까지는 아방타이틀(오프닝 전 짧은 도입 영상)을 사용하지 않았다. 이후 본방송 시간에만 "겐로쿠료란 1분 전"이라는 짧은 코너를 마련한 후에 정식으로 아방타이틀을 도입했다.

오프닝은 겐로쿠 시대와 충신장을 결합하여 활기차고 떠들썩한 분위기를 형상화한 테마곡과, 겐로쿠 문화 중 하나인 가부키조루리를 형상화한 CG 타이틀 영상이 사용되었다. 영상 시작 부분에서 후스마(미닫이 문)를 열면 나타나는 공작과 다음 장면에서 시냇물을 거슬러 올라가는 매화나무는, 1975년 충신장을 다룬 대하드라마 『겐로쿠 타이헤이키』의 타이틀 영상에서도 사용된 오가타 코린의 "공작무궁화도 병풍"과 "홍백매도 병풍"을 모티브로 한 것이다. 다만, 이 드라마는 꽃과 예능, 무용을 주제로 한 영상이므로 두 작품의 공통점은 이 두 모티브에 그친다. 이케베 신이치로가 작곡한 메인 테마곡은 시간 제약 때문에 구성상 중요한 주제 부분이 편집되어 짧아졌다.

대하드라마 연출 경험이 많은 오하라 마코토 수석 연출가의 실질적인 마지막 대하드라마 연출작이 되었다. 과거 대하드라마에서 주연이나 비중 있는 조연을 맡았던 유명 배우들이 조역으로 다수 출연하였으며, 가부키 배우나 가부키 출신 배우들도 많이 기용되었다. 또한, 훗날 대하드라마 주연을 맡게 되는 타키자와 히데아키, 미야자키 아오이, 아베 사다오까지 포함하면, 역대 대하드라마 주연 경험자가 가장 많이 출연한 작품이 되었다.

2023년 현재, 이 작품 이후 대하드라마에서 충신장을 포함한 겐로쿠 시대를 배경으로 한 작품은 제작되지 않았다. 또한, 에도 시대 중 도쿠가와 이에야스 생존 시기(1616년 이전)와 막말 시대를 제외한 시기를 배경으로 하는 작품 제작 역시, 18세기 후반을 다루는 2025년 예정작 『베라보우~쓰타 중영화의 꿈 이야기~』가 나오기 전까지 중단되었다.

주연 배우였던 5대째 나카무라 칸쿠로(방송 6년 후인 2005년, 18대째 나카무라 칸사부로 이름 계승)가 2012년 12월 5일 타계하자, 같은 해 12월 9일 NHK 아카이브 채널에서 제47화 "47인의 습격"이, 12월 29일에는 BS 프리미엄 채널에서 총집편 전 4화가 추모의 의미로 재방송되었다.

2019년 방송된 대하드라마 『이다텐~도쿄 올림픽 이야기~』 전반부에서는 이 작품의 주연이었던 5대째 칸쿠로의 장남인 6대째 나카무라 칸쿠로가 주연을 맡았다. 대하드라마에서 부자가 대를 이어 주연을 맡은 사례는 오가타 켄오가타 나오토 부자가 있었지만, 같은 예명(칸쿠로)으로 주연을 맡은 것은 이것이 처음이었다. 『이다텐』 후반부는 이 작품에서 사나다 노부유키 역을 연기했던 아베 사다오가 주연을 맡았다.

평균 시청률은 20.2%, 최고 시청률은 28.5%를 기록했다.[1]

참조

[1] 웹사이트 ビデオリサーチ NHK大河ドラマ 過去の視聴率データ http://www.videor.co[...]
[2] 뉴스 清野菜名だけじゃない! ドラマ出演中に妊娠発覚の女優、出番激減で大御所も激怒? https://news.livedoo[...]
[3] 뉴스 さんま NHK大河出演シーン全カットの過去 「すっごい面白い出来」も… https://www.sponichi[...]
[4] 뉴스 「テレ東はこっちから出入り禁止」 さんまがテレビ局との確執明かす https://www.j-cast.c[...]
[5] 문서 中島丈博は、自身独自の脚色があることを単行本・文庫本で明記している。
[6] 문서 当初の予定は御木本伸介。
[7] 문서 史料では「真田信音」と記され、旗本の真田信就とは別人。
[8] 문서 平田満が演じる予定だったが、事故のため変更。
[9] 문서 一部放送日時の変更あり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